빙웹마스터
반응형

표준체중계산기 사용법, 계산식 알아보기 바랍니다. 표준체중계산기 사용법과 표준체중 계산식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표준체중 계산식은 체중대비백분율과 브로카변법 두 가지가 있습니다. 각각의 계산은 어떻게 하는지 궁금하시죠? 바로 내려가보시죠.

 

 

표준체중계산기 사용법, 계산식 알아보기

 

1. 표준체중계산기 사용법
2. 표준체중계산식
     2.1. 체중 대비 백분율 (PIBW, Percent of Ideal Body Weight)
     2.2. 브로카 변법 (Broca's method)
3. 표준체중의 의미
4. 표준체중계산기 바로가기

 

 

 

1. 표준체중계산기 사용법

 

표준체중계산기 사용법과 계산식에 대해서 알아볼 겁니다. 표준체중계산기만 필요한 경우에는 본문하단의 표준체중계산기 바로가기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표준체중계산기

체중대비백분율(PIBW)과 브로카변법 중에서 원하는 것을 선택합니다. 이 두 가지의 계산식은 아래에서 소개합니다.

 

표준체중 계산기에 신장(키)과 체중(몸무게)을 입력하고 '계산'을 눌러줍니다. 

 

표준체중계산기-표준체중은?

위의 샘플 몸무게는 중정도 비만입니다. 생각보다는 비만이 아닌 몸매를 갖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닌듯합니다.

 

신장 178cm의 표준체중은 69.7kg입니다. 어떻게 표준체중을 알 수 있는지 계산하는 방법도 아래에서 알려드리겠습니다.

 

 

2. 표준체중계산식

 

체중대비백분율-브로카변법

 

 

2.1. 체중 대비 백분율 (PIBW, Percent of Ideal Body Weight)

 

남자

신장(m) ×신장(m) ×22 = 1.78 ×1.78 ×22 = 69.7kg

이 남자의 표준체중은 69.7kg입니다.

 

여자

신장(m) ×신장(m) ×21 = 1.58 ×1.58 ×21 = 52.4kg

이 여자의 표준체중은 52.4kg입니다.

 

 

2.2. 브로카 변법 (Broca's method)

 

신장이 150cm 미만인 경우

신장(cm) - 100 = 148-100 = 48kg

 

신장이 150cm 이상 - 160cm 미만인 경우

(신장(cm) - 150) ÷ 2 + 50 = (158-150) ÷ 2 + 50 = 54kg

 

신장이 160cm 이상인 경우

(신장(cm) - 100) × 0.9 = (178 - 100) × 0.9 = 70.2kg

 

브로카변법의 특징은 남녀의 구분 없이 일괄로 적용합니다. 계산결과는 체중대비백분율과 비슷한 수준으로 나옵니다.

 

 

3. 표준체중의 의미

 

일상적으로 건강을 유지하는데 가장 유리한 체중을 표준체중이하고 합니다. 표준체중을 유지하지 못한 상황이라면 건강을 유지하는데 불리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표준체중계산기를 이용해서 건강한 삶을 살아가기 위한 나의 몸무게를 파악하고 유지하기 바랍니다.

 

 

4. 표준체중계산기 바로가기

 

https://calculator.asamaru.net/%EA%B3%84%EC%82%B0%EA%B8%B0/%EA%B1%B4%EA%B0%95/%ED%91%9C%EC%A4%80%EC%B2%B4%EC%A4%91/

 

표준체중 계산기

일상생활에서 건강을 유지하는 가장 알맞은 체중을 표준체중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각 개인의 신장 대비 적당한 체중을 말하며 정상체중 또는 표준체중, 이상체중(바람직한 체중)은 거의 비

calculator.asamaru.net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