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웹마스터
반응형

자궁내막 두꺼움 원인, 증상, 진단, 치료방법 정리. 갑자기 늘어난 생리량.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골반 통증. 월경기간의 변화가 있다면, 자궁내막 두꺼움 의심해봐야 한다. 자궁내막 두꺼움은 에스트로겐, 황체호르몬과 어떤 관계인지, 어떤 치료가 필요한지 알아보자.

 

 

 

자궁내막 두꺼움

 

1. 자궁내막 두께
2. 두꺼움 원인
3. 두꺼움 증상
4. 두꺼움 진단/치료
5. 요약정리

 

 

 

1. 자궁내막 두께

 

자궁내막은 자궁안쪽의 점막으로 이뤄진 얇은 막이다. 배란기에 두꺼워졌다가 생리직후에 가장 얇아진다. 이렇게 자궁 내막은 에스트로겐의 영향으로 두꺼움과 얇아짐을 반복하게 된다.

 

에스트로겐의 영향을 받는 배란기에는 두꺼워진다. 영향이 줄어 생리가 발생하는 도중에는 얇아지게 된다. 배란기 7~15mm, 생리직후 2~5mm, 그리고 폐경 후에는 2~4mm의 두께를 유지한다.

 

자궁내막의 두께를 측정할 때는 생리직후에 하게 된다. 생리직후 2~5mm가 정상이다. 6mm 이상이면 이상소견으로 판단한다. 

 

 

 

2. 두꺼움 원인

 

두꺼움 원인은 병적인 요인과 이외의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병적인 원인은 자궁내막증식증, 자궁내막용종, 자궁내막암이 있다. 이외의 요인은 호르몬의 불균형이나, 체중증가에 의해서도 유발될 수 있다.

 

▶ 자궁내막증 원인, 증상, 진단, 치료, 수술

 

배란 전까지 에스트로겐, 배란 이후에는 황체호르몬으로 넘어간다. 에스트로겐으로 인해서 두꺼워지고, 수정란의 착상, 임신의 유지, 자궁내막 증식을 멈추기 위해 필요한 호르몬인 황체호르몬에 의해서 얇아진다.

 

하지만, 이런 정상적인 절차에 의하지 않고, 비정상적인 상황에 의해서 에스트로겐이 너무 과한 작용을 하거나, 황체호르몬의 장애로 인해서 자궁내막이 계속해서 증식하면 두꺼워지게 된다.

 

자궁내막두꺼움예시

 

 

3. 두꺼움 증상

 

두꺼움 증상은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래도 나타난다면, 월경을 할 날짜가 아닌데 출혈이 발생하는 비정상출혈, 월경양의 과다, 월경불순, 아랫배의 통증의 증상이 있을 수 있다.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증상이 생리양과 기간의 증가다. 과다한 생리양은 빈혈과 만성피로감을 안겨줄 수 있다. 일부는 일상생활에서 불편을 느낄 정도의 골반통증을 가져오기도 한다.

 

난임부부의 검사과정에서도 자궁내막 두꺼움을 발견하기도 한다. 1년 이상 정상적인 관계를 가졌는데, 임신이 되지 않았다면, 검사가 필요하다.

 

 

4. 두꺼움 진단/치료

 

자궁내막 질환은 에스트로겐이 과도한 상황이 일반적이다. 이로 인해 자궁내막이 두꺼워진다. 이런 상황을 만드는 위험인자는 다음과 같다.

 

1. 초경을 시작한 나이가 빠른 경우
2. 임신경험이 없는 경우
3. 초산이 늦은 경우
4. 폐경이 늦은 경우
5. 가족병력이 있는 경우

 

자궁내막이상증식증의 진단은 초음파감사가 일반적이다. 최종적인 진단은 자궁내막 조직검사를 통하게 된다.

 

치료는 황체호르몬을 투여하는 약물요법이 시행된다. 자궁내막 용종이나 내막암은 경우에 따라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검사결과가 나쁜 경우에는 자궁절제술을 할 수도 있다.

 

 

5. 요약정리

 

자궁내막 두꺼움 원인은 에스트로겐, 황체호르몬의 이상증상에 의해서 발생한다. 이로 인해 비정상출혈이나, 월경불순, 월경과다, 아랫배의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초음파와 자궁내막 조직검사를 통해서 진단을 한다.

 

일반적인 상황에서의 치료는 황체호르몬을 투여하는 약물요법이 먼저 시행된다. 너무 걱정하지 말고, 위에 알려드린 증상이 나타나거나, 가족력이 있다면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서 관리가 필요하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