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웹마스터
반응형

만세력 천을귀인 무엇을 봐야 할지 모른다면 잘 찾아오셨습니다. 천을귀인 만세력을 사용해서 사주명식을 구하고 나서도 도대체 뭘 봐야 할지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오늘 모든 것을 설명드리지는 못하겠지만, 만세력 천을귀인을 보는 재미는 느낄 수 있을 겁니다.

 

 

 

만세력 천을귀인, 셀프사주 보는 법

 

1. 천을귀인이란?
2. 만세력 천을귀인 설치하기
3. 만세력 천을귀인 시작하기
4. 만세력 천을귀인 사주명식 이해하기

 

 

 

 

1. 천을귀인이란?

 

만세력 천을귀인의 설치를 시작하기 전에 천을귀인이 무엇인지 간단하게 설명드립니다.

 

사주에는 12 신살과 무수히 많은 신살들이 존재합니다. 그 많은 신살 중에 천을귀인을 가장 으뜸으로 뽑는 좋은 신살입니다. 사주에 천을귀인이 있다면 인격이 뛰어나고, 지혜롭고 사리분별이 좋아서 내 사주의 좋지 않은 기운이 작아진다고 합니다.

 

천을귀인이 궁금하다면 아래의 링크를 통해서 확인해 보시고, 오늘은 만세력 천을귀인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을 다루기 때문에 천을귀인 어플에 더 집중해 주셨으면 합니다.

 

천을귀인 사주 특징은?

 

 

 

 

2. 만세력 천을귀인 설치하기

 

만세력천을귀인어플-설치하기

1. 구글플레이스토어에서 천을귀인을 검색합니다.

2. 만세력 천을귀인을 누르고 설치를 해줍니다.

3. 설치가 완료되면 만세력 천을귀인을 '열기'해 줍니다.

 

 

 

3. 만세력 천을귀인 시작하기

 

만세력천을귀인-사용방법

1. 만세력 시작하기를 눌러주면 되는데, 누르기 전에 아래를 살펴보겠습니다.

※ 스스로 작명하는 명작명서비스가 있고, 토정비결을 보는 토담토담 서비스가 있고, 12 신살 방위로 나의 공간을 어떻게 꾸며야 할지에 대한 서비스가 존재합니다. 이 내용에 대해서는 따로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 시작하기를 누르면 사주정보(생년월일시)를 입력하라고 나옵니다. 아는 대로 입력한 다음 '사주조회'를 눌러줍니다. 상단의 사주게이트 만세력 프로서비스도 차후에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3. 사주조회를 눌러주면, 천을귀인 만세력의 사주명식을 볼 수 있습니다.

 

 

 

4. 만세력 천을귀인 사주명식 이해하기

 

만세력천을귀인-내용파악하기

만세력 천을귀인의 사주명식은 위와 같은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표시된 숫자대로 하나씩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아래의 내용을 읽어보면 만세력 천을귀인에서 보여주는 내용이 무엇인지 알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해당 단어들을 검색해 보는 것만으로도 재미를 느낄 수 있습니다.

 

가장 먼저 9번을 알려드리고 넘어가겠습니다. 만세력 천을귀인에서도 토정비결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토정비결 확인하는 법은 아래의 링크를 확인해 주시고, 우선 아래 1번부터 차례대로 읽어 내려가시기 바랍니다.

 

▶ 2023년 토정비결, 2024년 토정비결 보는법

 

 

1. 년주, 월주, 일주, 시주의 네 개의 기둥에 여덟 개의 한자를 사주팔자라 합니다. 사주팔자의 위아래로 십성이 표시되는데, '비견, 겁재, 식신, 상관, 정재, 편재, 정관, 편관, 정인, 편인'이 표시됩니다.

 

위 사주에는 식신이 다섯 개나 있는데, '식신과다'와 식상이 없는 '무식상'으로 검색해 보면 됩니다. 이렇게 많은 건 많은데로 없는 건 없는 데로 검색해 보면 나의 사주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여덟 개의 한자 중에 위에 글자는 천간이고, 아래의 글자는 지지다. 일주의 위에 표시된 일간(나)라고 표시된 것이 말 그대로 '나'입니다. 위의 사주는 '병화(丙) 일간'이라고 검색하면 나에 대해서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일주에 있는 두 글자 '병진(丙辰) 일주'를 검색해 보면 조금은 넓은 범위의 나에 대해서 알 수 있습니다.

 

물론, 이렇게 단편적으로 나의 사주를 볼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재미 삼아 보는 것으로는 만족스러울 수 있습니다.

 

2. 지장간에 대해서 알아볼 수 있는데, 여기서부터는 조금 어려울 수 있습니다. 지지 속에 있는 천간이란 의미로 지장간에 있는 한자가 천간에 있으면 통근 또는 투간이라고 합니다. '지장간'을 검색해 보세요.

 

3. 12 운성입니다. '장생, 목욕, 관대, 건록, 제왕, 쇠, 병, 사, 묘, 절, 태, 양'으로 표시되는데, 십이운성은 천간과 지지가 만날 때 천간의 에너지의 강약과 음양을 보는 방법입니다. 인간의 생로병사와 윤회를 12단계로 표현한 겁니다. '십이운성'을 검색해 봅니다.

 

4. 형충회합입니다. 천간과 지지가 변하는 기본요소로 각 내용마다 이해를 하면 재미있는 부분인데, 이곳에서 설명드리기는 어려울듯합니다. '형충회합'을 검색하면 각각의 내용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

 

5. 12 신살입니다. 십이신살은 '겁살, 재살, 천살, 지살, 연살, 월살, 망신살, 장성살, 반안살, 역마살, 육해살, 화개살'입니다. 일지나 연지를 기준으로 살펴볼 수 있습니다. '십이신살'을 검색해 보면 자세한 내용을 알 수 있습니다.

 

6. 대운수입니다. 10주기로 바뀌는 운수인데, 대운수가 바뀔 때마다 나의 사주팔자가 크게 출렁이게 됩니다. 타고난 사주명식보다도 대운수의 변화가 더 중요하기도 합니다. 대운에서 자신에게 맞는 나이를 선택하면, 세운과 월운이 변경됩니다. 한번 눌러보세요.

 

7. 세운입니다. 1년마다 바뀌는 운세이다 보니 10년마다 바뀌는 대운수보다 강도가 더 쌥니다. 한해 한해의 운세가 바뀌니, 세운의 변화를 잘 읽어야 합니다. 세운을 보고 싶은 년도를 선택하면 월운이 바뀝니다. 세운도 한번 눌러보세요.

 

8. 월운입니다. 사주에서 월이 바뀌는 기준은 12 절기입니다. 12 절기는 입춘, 경칩, 청명, 입하, 망종, 소서, 입추, 백로, 한로, 입동, 대설, 소한을 기준으로 합니다.

 

만세력 천을귀인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대략적으로는 이해를 하셨을 것이라고 믿습니다. 좀 더 자세한 내용은 계속되는 포스팅으로 알려드리겠습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