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술만세력 일진달력 바로가기 및 사용법
목차
1. 갑술만세력 일진달력 그대로 읽어도 될까?
2. 갑술만세력과 일진달력을 비교하면서 알게 된 것!
3. 일진달력 제대로 사용하려면!
-해가 바뀌는 기준
-월이 바뀌는 기준
-일이 바뀌는 기준
4. 갑술만세력 일진달력 바로가기
1. 갑술만세력 일진달력 그대로 읽어도 될까?
갑술만세력에서 제공하는 일진달력을 일반적인 음력이나 양력 달력, 그리고 절기달력으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그냥 사용하셔도 됩니다.
다만, 사주팔자와 절기의 관계에 관심이 있는 것이라면 아래에 아주 유익한 내용을 다룰 예정이니 꼭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지금부터 아주 재미난 얘기를 해 볼 겁니다. 여러분이 어디 가서 아는 척을 할 수 있는 내용입니다.
일진달력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단부터 년, 월, 일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일진달력이 일반달력이라면 2024년 2월 3일을 그대로 읽어 내려가면 됩니다. 순서대로 2024년은 갑진년, 2월은 병인월, 3일은 정유월이 되겠습니다.
이렇게만 끝난다면 아무런 재미도 아는 척도 할 수 없을 것입니다.
2. 갑술만세력과 일진달력을 비교하면서 알게 된 것!
그래서 만세력에 2024년 2월 3일을 입력해 보았습니다. 시간은 23시 10분입니다.
그런데 일진달력에서 보았던 2024년은 갑진년, 2월은 병인월, 3일은 정유월이 아닙니다. 계묘년 을축월 정유월이라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그래서 하나 더 입력해 보았습니다. 이번에는 2024년 2월 3일은 동일한데, 시간은 23시 40분입니다.
그런데 이번에도 일진달력에서 보았던 2024년은 갑진년, 2월은 병인월, 3일은 정유월이 아닙니다. 년월은 같은데 날짜가 4일인 무술일이 되었습니다.
3. 일진달력 제대로 사용하려면!
이제 일진달력을 읽는 방법을 종합해 보면, 일진달력은 보이는 데로 읽으면 일진을 볼 수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진달력을 제대로 사용하려면 년월일이 바뀌는 날짜를 알아야 합니다.
해가 바뀌는 기준
년이 바뀌는 지점은 24 절기 중 입춘일에 해가 바뀌는 것입니다. 올해의 입춘은 2월 4일입니다.
2024년 2월 3일 23시 29분까지는 계묘년이다.
2024년 2월 3일 23시 30분부터는 2월 4일 자시(2월 3일 23시 30분~2월 4일 01시 30분)에 해당하므로 갑진년이다.
월이 바뀌는 기준
24 절기는 12개의 절기와 12개의 중기가 있습니다. 절기는 월초에 중기는 월중간에 위치합니다.
매월초에 있는 절기가 월이 바뀌는 날입니다.
절기는 입춘ㆍ경칩ㆍ청명ㆍ입하ㆍ망종ㆍ소서ㆍ입추ㆍ백로ㆍ한로ㆍ입동ㆍ대설ㆍ소한
중기는 우수ㆍ춘분ㆍ곡우ㆍ소만ㆍ하지ㆍ대서ㆍ처서ㆍ추분ㆍ상강ㆍ소설ㆍ동지ㆍ대한
일진달력을 기준으로 종합해 보면 입춘은 2월 4일입니다.
즉, 2월 3일까지는 1월인 을축월이 되고, 2월 4일부터 다음 경칩일 전일까지는 2월에 해당하는 병인월에 해당합니다.
일이 바뀌는 기준
일은 일진달력에 있는 그대로 읽어야 합니다. 물론 자시(오늘 23시 30분~다음날 01시 30분)에 다음날의 일진을 사용합니다.
종합해 보면 매년 절기 중 입춘을 해가 바뀌는 기준으로 그리고 나머지 절기는 월이 바뀌는 기준으로 하면 일진을 살피는데 이상이 없을 것입니다.
4. 갑술만세력 일진달력 바로가기
지금까지 갑술만세력 일진달력 사용방법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았습니다.
처음에는 조금 헷갈릴 수 있는데, 한 번만 정리해 놓으면 어디 가서 든 아는척할 수 있는 내용입니다.
이제 갑술만세력 일진달력 바로가기를 통해서 원하는 날짜를 살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