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웹마스터
반응형

 

 

2023년 4대 보험 요율 및 계산기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2023년 4대 보험 요율에 대해서 안내해 드리면서 간단하게 4대 사회보험 계산기를 통해서 나의 월급여액 기준 4대 보험이 얼마나 나오는지 알아보고 세부적인 사항에 대해서 풀이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2023년 4대 보험 요율

 

2023년 4대 보험 4대 보험 요율표 및 4대 보험 계산기의 모의계산 결과를 알아보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본문의 4대 사회보험 모의 계산기의 링크를 통해서 4대 보험 계산을 꼭 해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1. 4대 보험 요율표

 

구분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 고용보험
2022년 9.0% 6.99% [건강보험*12.27%]=
0.86%
1.8%
2023년 9.0% 7.09% [건강보험*12.81%]=
0.91%
1.8%

 

국민연금: 2022년 7월 1일 ~ 2023년 6월 30일까지 9.0% 연금보험요율 적용

건강보험: 2022년 대비 1.49% 인상하여 7.09% 건강보험요율 적용

장기요양: 2022년 0.91%로 장기요양보험요율 인상.

고용보험: 2022년 7월 1일부터 1.8%로 인상된 보험료율 적용

산재보험: 사업장 부담으로 근로복지공단 1588-0075 개별 문의.

 

 

 

2. 4대 사회보험료 모의계산

 

4대 사회보험료 모의 계산기 바로가기 링크를 남겨드리고, 이에 대한 사용방법과 세부적인 사항에 대한 내용을 안내해 드립니다.

 

 

2.1. 4대 보험료 계산 예시 및 세부내용

 

4대사회보험료모의계산
4대사회보험료 모의계산기

4대 사회보험료 모의 계산기입니다. 월급여에 250만 원을 입력하고 계산기를 눌러봤습니다. 아래에 국민연금, 건강보험, 건강보험(장기요양보험), 고용보험의 계산 결과가 나옵니다. 계산기의 계산 결과 보험료 총액을 근로자와 사업주가 절반씩 부담하게 되어있습니다. 아래에서 세부사항을 알아보겠습니다.

 

 

국민연금

 

4대사회보험료모의계산-국민연금
4대사회보험료 국민연금 모의계산 결과

국민연금은 2022년 7월 1일에서 2023년 6월 30일까지 적용되는 요율입니다. 현재 기준 소득월액에 9%의 연금 보험료율을 곱해서 연금보험료가 책정됩니다.

 

 

건강보험

 

4대사회보험료모의계산-건강보험
4대사회보험료 건강보험 모의계산 결과

건강보험의 계산은 건강보험료와 장기요양보험료의 계산으로 나뉩니다. 건강보험료는 기준 소득월액에 건강보험요율 6.99%(2023년은 7.09%)를 곱해서 나온 금액이고, 장기요양보험료는 건강보험료에 장기요양보험요율 12.27%(2023년은 12.81%)를 곱해서 나온 금액입니다.

 

 

고용보험

 

4대사회보험료모의계산-고용보험
4대사회보험료 고용보험 모의계산 결과

고용보험의 [실업급여 항목]은 기준 소득월액에 1.8%를 곱해서 근로자와 사업자가 절반(0.9%)씩 나눠서 내며, [고용안정, 직업능력 개발사업 항목]은 사업자만 부담하는데 구간별로 요율의 차이가 있습니다.

※ 고용보험의 실업급여 요율은 2022년 7월 1일부터 1.6%에서 1.8%로 인상되었습니다.

 

 

산재보험

 

4대사회보험료모의계산-산재보험
4대사회보험료 산재보험료 안내

 

산재 보험료율은 근로복지공단에서 사업장 실태 확인 후 적용하는 것으로 산재보험료의 문의는 근로복지공단 1588-0075번으로 문의하시면 됩니다.

 

 

2.2. 4대 보험료 모의 계산기 바로가기

 

 

4대보험료 모의계산 - 4대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건강보험조회목록으로 건강보험료 및 장기요양보험료,보험료율,근로자,사업주 에 대한 표 구분 기준액 보험료율 근로자 사업주 건강보험료 보수월액 6.99% 3.495% 3.495% 장기요양보험료 건강보험

www.4insure.or.kr

 ※  현재 4대 보험료 요율 모의계산은 2022년 기준으로 계산됨.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